동아리/별벗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회 준비

austag 2023. 8. 13. 17:06

별벗에서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회를 열게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이것을 기획한 부장님은 IOAA로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화이팅

그래서 차장인 제가 이 관측회를 주도하게 되었는데 이제 며칠 안 남았습니다.

별자리 설명과 산개성단, 구상성단, 토성 등 여러 천체들을 망원경으로 관측할 예정으로 이것들을 준비해야 합니다.

 


일단 관측회에 참여할 학생들을 뽑기 위해서 별벗 부원 제외 각 두 학년 당 10명 씩, 총 34명이 관측회에 참여하도록 했습니다. 신청자가 초과되어서 랜덤으로 선정했습니다. (파이썬 최고)

import random

list = []
num = random.randint(2,16)

for i in range(10):
  while num in list:
    num = random.randint(2,16)
  list.append(num)

list.sort()
print(list)

관측할 사람들에게 공지를 따로 해주었고  이렇게 인원 모집은 끝냈습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매년 8월 14일 경 극대기가 오는데 학교가 16일에 개학해서 날씨를 보고 16, 17일 중 선택해야 합니다. 지금으로서 예상은 16일일 것 같습니다.

 

천체 관측을 위해 몇 일 동안 틈틈히 관측 연습을 했습니다. 연습한 것 중 그래도 자신있는 것은 M39, M13, 토성인 것 같습니다. 하늘에 상태에 따라서 볼 수 있는 것이 달라지게 되어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별과 별자리는 간단한 설명과 함께 별지시기로 보여줄 것입니다. 

l  여름철 대삼각형

# 데네브: 백조의 꼬리별, 견우 직녀 설화의 까마귀 (16000년 전 북극성)

# 베가: 직녀성 (13000년 전 북극성)

# 알타이르: 견우성

대충 이런 식으로 설명할 것 같고 하늘을 보면서 약 17 ~ 19 개 정도의 별자리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많은 사람 앞에서 하는  별자리 설명과 망원경 관측은 처음이라 잘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열심히 해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