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ampbell] 21. Unifying Concepts of Animal structure and Funtion

by austag 2024. 5. 28.

21단원 앞에도 해야하는데 퀴즈 범위였어서 기말고사에는 안나온답니다. 시간이 없으므로 시험 범위만 쓸 예정이고 나중에 시간이 되면 추가하겠습니다.


< Homeostasis in te Urinary System >

Urinary system은 삼투압 조절의 중심입니다. 체액 내 수분과 용질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하고, 노폐물을 배출합니다.

Kidney는 이 과정의 중심으로 길고 얇은 tubules모세혈관의 network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혈액이 신장을 순환하면 세뇨관으로 들어가 여과액을 형성합니다. 이 여과액에는 물, 포도당, 요소 등이 들어가 있습니다.

위의 가장 오른쪽 사진은 nephron으로 콩팥의 기능적 단위입니다. tubules와 모세혈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고, 네프론이 모여 콩팥을 만듭니다.

 

< 4 key Function of Nephrons >

네프론에선 4개의 작용이 일어납니다.

1. Filtration : 모세혈관의 물과 작은 분자를 세뇨관으로 이동시켜 여과액을 형성합니다. 혈관이 얇아지면서 그 압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죠.
2. Reabsorption : 여과액에 있는 물, 포도당, 아미노산 등 필요한 물질을 혈액으로 재흡수한다.
3. Secretion : 혈액의 일부 이온과 약물을 여과액으로 분비한다.
4. Excretion : 콩팥에서 체외로 오줌을 배출한다.

 

< Regulation of the kidney Function >

호르몬을 통해 콩팥의 네프론을 조절하여 수분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은 신경계, 내분비계, 배설계의 연결의 중심이 됩니다.

 

오줌의 성분은 환경과 질병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RAAS)는 혈압, 세포외액의 부피를 조절합니다. 콩팥으로 가는 혈액량을 줄어들면 사구체 인접 세포가 프로레닌을 활성시켜 레닌을 혈액으로 분비합니다. 안지오텐신은 혈관을 수축시켜 여과가 일어날 수 있게 합니다.


배설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 campb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