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2 역행렬(inverse matrix) 다시 돌아온 선대.. 음. 선형대수학 글은 아마 공부하는 순서를 지키진 못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그때그때 공부한 것을 올릴 것이기 때문이죠. 하하. 오늘은 '역행렬'입니다. 역행렬을 구하려면 먼저 알아야 할 행렬들이 있기 때문에 그것부터 공부하고 역행렬을 구해보겠습니다. 1. 행렬식(deteminant) 행렬식은 행렬에 스칼라를 대응시키는 함수의 하나..........라고 하지만 이렇게 하면 뭔지 이해가 안되니까 어떻게 구하는지부터 알아봅시다. - 2×2 행렬 A $ A= \begin{pmatrix} a & b \\ c & d \\ \end{pmatrix} $ 라는 행렬이 있을 때, 이 행렬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det(A) = \begin{vmatrix} a & b \\ c & d \\.. 2023. 10. 29. [인공지능 수학] Hessian Matrix 학교에서 인공지능 수학 이수제 강의를 들었는데 Hessian Matrix가 눈에 띄었습니다. 오 저게 뭐지 처음에 설명들을 때는 이해하지 못했지만 행렬이라 재밌을 것 같아서 공부하고 싶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공부하면서 되게 신기했습니다. 이번 글은 인공지능과 관련지어 Hessain Matrix를 알아보고 나중에 Jocobian Matrix도 공부해보려 합니다. 1. 인공지능과 극값 먼저 평균제곱오차와 경사하강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전에 글을 올렸었는데 그 글을 참고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선형회귀를 먼저 꺼내보겠습니다. 선형회귀 (liner regression)는 변수 간 선형관계를 모델링하는 것이고 값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변수가 1개면 단순회귀, 2개 이상이면 다항회귀라고 하죠. 인공.. 2023. 8.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