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리/별벗3 Blue Moon 2023년 8월 31일, 슈퍼블루문이 떴습니다. 지구를 초첨으로 타원궤도를 공전하는 달이 근지점에 오면 평소보다 크게 보이게 됩니다. 이 근지점에 온 달이 보름달일 때 슈퍼문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블루문은 한달에 뜨는 2번째 보름달을 말합니다. 이름에 'blue'가 섞여 있지만 색과는 무관한 이름입니다. 슈퍼블루문은 14년마다 한번씩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번 이후 2037년에 볼 수 있다는 것이죠. 관측시간은 야자 3교시(21:50~23:30)이고 망원경으로 달, 토성, 목성을 관측했습니다. 이름 그대로 달이 컸고 정말 밝았습니다. 망원경으로 바로보면 눈이 아프기 때문에 Moon filter를 낀 상태로 관측을 했습니다. 달의 바다와 크레이터, 표면들이 잘 보였습니다. 바닥에 누워서 별벗 친구들, 후배.. 2023. 9. 3.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회 8월 16일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회를 열었습니다. 기장님이 관측회에 불참하게 되어서 부기장인 제가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별벗은 야자 2교시(20:50~21:30)에 준비를 했고 관측회는 야자 3교시(21:50~23:20)에 이루어졌습니다. 날씨 예보를 보면서 구름이 있길래 걱정했었는데 하늘이 돌고래, 화살자리가 보일만큼 맑아서 정말 운이 좋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관측회 전에 며칠 동안 망원경 연습도 하고 별자리 설명 연습도 열심히 해봤는데 잘 전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과학고니까 그냥 별자리만 설명하는 것보다 세차운동, SETI 프로젝트, 아레시보 메시지 등 우주에 대해 더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이번에 참여하진 못한 기장님께 설명도 듣고 조사도 해보면서 어떻게 설명할지 구상을 했고 성도로 몇 번씩.. 2023. 8. 17.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회 준비 별벗에서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회를 열게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이것을 기획한 부장님은 IOAA로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화이팅 그래서 차장인 제가 이 관측회를 주도하게 되었는데 이제 며칠 안 남았습니다. 별자리 설명과 산개성단, 구상성단, 토성 등 여러 천체들을 망원경으로 관측할 예정으로 이것들을 준비해야 합니다. 일단 관측회에 참여할 학생들을 뽑기 위해서 별벗 부원 제외 각 두 학년 당 10명 씩, 총 34명이 관측회에 참여하도록 했습니다. 신청자가 초과되어서 랜덤으로 선정했습니다. (파이썬 최고) import random list = [] num = random.randint(2,16) for i in range(10): while num in list: num = random.randin.. 2023. 8. 13. 이전 1 다음